0. 삶에 의미를 주는 것은 무엇일까? 우리에게 생존과 번식을 넘어서는 가치를 주는 것은 무엇일까? 가족, 누군가를 존재만으로 만족하고 수용해주는 마음, 조건적이지 않은 헌신, 사랑. 마음 속에 간질거리는 답안들이 떠오르지만 구체적으로 말로 표현하기도 어렵고 삶에 대입하기는 더 어렵다. 그러던 중에 조던 피터슨(Jordan Peterson)이 삶의 의미에 대하여 말하는 영상을 보았다. "Jordan Peterson *NEW* The Meaning of Life" https://youtu.be/6Irxo67AVeQ 1. 피터슨은 우리가 질문들을 거꾸로 하고 있다고 말한다. '왜 항상 일을 미루는가?' 보다 '왜 어떨 때는 미루지 않고 뭔가를 하려고 하는가?'라는 질문이 바른 질문이고, '왜 마약을 하는가?..
우리는 언제 질투할까?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이유는 무엇일까? 질투는 당연한 것일까 아니면 해서는 안 되는 것일까? 0. 사울의 이야기 성경에서 사울은 왕을 달라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요구에 대한 하나님의 대답으로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는다. 기름부음 받은 사울은 성령을 강하게 받아 당시의 선지자들과 함께 예언을 하고, 흩어진 지파들을 규합하여 대적을 물리치는 공을 세우며 이스라엘 백성들이 기대했던 강인한 리더십을 보여준다. 그러나 놀라움이 채 식기 전에 사울은 개인이 감당하기엔 버거운 왕위의 무게를 느끼게 된다. 적군이 크게 진을 치고 전세가 급박한데 승리를 기원하는 제사를 드릴 사무엘이 늦는 것이다. 제사는 당대의 선지자인 사무엘만이 드릴 수 있는 것인데 위급한 상황에 사무엘이 오지 않아 탈영병들..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에 별 기대 없이 앉아있을 때 첫 강사로 들어오신 분이 까만 옷을 입으신 김나진 강사님이셨다.조곤조곤 '생명존중 이해'라는 목표가 뻔한 제목으로 강의를 해주셨는데, 전혀 뻔하지 않은 이야기들로 가득차 있었다. 인트로에서 우리나라는 자살률이 10년 넘게 1등을 유지하다가 최근에 2위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자살률이 줄어서 2위가 된 것이 아니라 자살률은 그대로인데 더 자살률이 높은 국가인 리투아니아의 OECD 진입으로 인해 등수만 2위만 된 것이라고 한다. 이런 우리나라의 현장에서 자살예방관련 직종에서 일하셨던 강사님의 이야기는 정말 현실적이었고 이상심리학 수업시간과 차원이 다른 무게감이 있었다.강의의 내용은 주로 자살 위험이 있는 사람들을 마주하면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0. 전공선택 동기 사람들마다 심리학과에 진학을 고민하는 동기는 다양할 것이다. 필자 같은 경우는 중학교 때 겪었던 관계의 어려움이 같은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람들을 돕고 싶은 욕구로 발전했던 것 같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진학 과정을 거쳐서 결국 심리학과에 도착하였다. 다양한 전공 중에 심리학을 전공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은 그래도 나름대로 사람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있어서 이 전공을 고민할 것이다. 그 중에 진지하게 선택을 앞둔 사람들은 (심리학과의 커트라인이 대부분의 과보다 높거나 비슷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전공 선택에 있어서 선택의 여지가 있는 편일 것이다. 전공 선택이 향후 진로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선택인만큼 그 전공의 실제 공부에 대해 되도록 많이 알아보는 것이 유익할 것이라 생각한다. ..
"Encourage Your Children" -Jordan Peterson (0:00~0:51) 링크 https://youtu.be/51IciCvDgBo "When you love someone, you love them not only despite their fragility, but also because of it. 우리는 누군가를 사랑할 때 그들의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사랑할 뿐만 아니라 바로 그 연약함 때문에 사랑한다. They wouldn't be who they were if they weren't fragile and limited in their particular way. 연약하고 그대만의 방식으로 한계가 있는 그 모습이 그대라는 인간을 구성한다. When you have a sick..
0. 편리함 어떤 것이 편리하다는 것은 결국 그 자극이 뇌에서의 정보처리가 빠르다는 것이다. 뇌는 효율적인 기관이기 때문에 정보처리가 더 빠른 회로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자주 사용하는 회로는 더 넓어진다.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편리함은 더 늘어났고 늘어가는 편리함에 따라 이제 과거의 불편함으로 돌아가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되었다. 깨끗한 식수, 따뜻한 씻을 물, 깨끗한 그릇, 여벌 옷 없는 삶이 대한민국에 사는 대다수의 사람에게는 상상조차 불가능하다. 어떻게 보면 우리는 편리함의 감옥에 갇혀있다. 1. 편리함은 상대적 개념이다 불편함을 경험하지 못하고 자라난 우리들은 불편함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장 큰 두려움이 되었다. 역사적으로 정말 많은 인간이 깨끗한 식수와 따뜻한 물을 가진 적이 없었지만 ..
군집분석 군집분석이란, '사람들이 어떤 하위유형으로 나누어지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만들어진 통계법이다.특히 전문가 사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공통적인 특성이 있으면 분류하고자 하는 의도가 발생한다.이때 사용하는 통계가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이다.군집분석은 나누어진 군집들이 어떤 차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가 핵심이다. 1) 위계적(계층적) 군집분석-1 간단한 예로, 직선 상에 5명의 사람이 있을 때 그것을 5개의 군집으로도 볼 수도 있고, 거리에 따라 가까운 사람끼리 우선적으로 묶을 수도 있다. 2, 3개의 군집으로.그 다음 군집은 좀 더 가까운 묶음끼리 1,2 개의 군집으로 묶을 수 있다. -2각 사람의 속성을 점수로 부여할 수 있어서 각각의 사람들의 점수를 분포로 만..
1) 완벽주의의 개념화 완벽주의의 정의 중 인상깊었던 것"the tyranny of the shoulds" Hollender(1965)"도달할 수 없는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을 달성하도록 스스로를 강박적으로 밀어 붙이며, 자신의 가치를 전적으로 생산성과 성취에 기반하여 평가하는 사람들" Burns(1980) Frost 가 만든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를 FMPS라고 하고,Hewitt과 Flett가 만든 MPS를 HMPS라고 한다. 두 척도는 하위 척도가 다른데, Frost의 척도는 개인 내적 요인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Concern over Mistakes (CM) -실수에 대한 염려Personal Standards (PS) - 개인적 기준Pa..
1. 상관 연구는 두 변인간의 관계가 직선적 모형일때만 사용한다. 2. 회귀분석에서 한 독립변인의 설명량이 어느정도 되는지가 R^2이다.독립변인의 영향력 즉, 독립 변인이 종속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인 기울기는 Beta값으로 표현한다.회귀 모형의 적합성(기울기의 유의성)을 확인하는 값으로는 F, t, p값이 있다.중다회귀분석에서는 이 독립변인이 여러가지로 나타난다. 3. 조절효과부모애착(X)과 학교생활적응(Y)에 적극적 방어기제(M)라는 변인이 조절효과를 가진다고 가정 하였을 때M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애착(X)의 효과, 애착과 적응적 방어기제의 효과(X + Y) 그리고 애착과 방어기제, 애착과 방어기제의 상호작용 항(X + Y + XY)를 확인한다.R^2의 설명량이 이 XY에서 유의하게 나..